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비이슈

야구 타자 기록인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계산법 본문

스포츠 이슈

야구 타자 기록인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계산법

펙트콜 2018. 10. 16. 14:31

안녕하세요.


오늘은 야구의 타자 기록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타율과 출루율 그리고 장타율, OPS란 무엇이고 계산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타석(PA)과 타수(AB)의 개념부터 살펴보겠습니다.


타석"Plate Appearance"은 타자가 공을 치기 위해 들어섰던 모든 기회이며 타수"At Bat"는 사사구(포볼, 데드볼)와 희생타를 제외한 횟수 입니다.

 

만약 타자가 10번의 기회에서 2개의 볼넷과 1개의 몸에맞는 볼이 나왔다면 (10타석 7타수)로 표시됩니다.

 


타율 : AVG "Batting average" 타수(사사구, 희생타 제외)에 대한 안타의 비율입니다.


OBP "on Base percentage"출루율이란 모든 타석(사사구, 희상타 포함)에서 출루한 비율(사사구 포함)이지만 에러나 수비가 선행 주자를 잡기 위해서 출루가 됐다면 계산에서 제외됩니다.



SLG "slugging average"장타율이란 단타를 1점, 2루타는 2점, 3루타는 3점, 홈런을 4점으로 계산하여 타수(사사구, 희상타 제외)로 나눈 값입니다.


타자가 나와 모든 타수에서 홈런(4)을 친다면 장타율은 "4.000"이 됩니다.  만약 타자가 10번의 타수(AB)에서 3루타 1개와 2루타 2개를 치고 7번 아웃이 되었다면 장타율은 0.700이 됩니다. 

<3루타+(2루타+2루타)=7  /  10번의 타수>


한마디로 타수당 몇 루를 진루하는지 보는 기록으로 장타율이 "1.000"이라면 매 타수마다 평균 1루를 또한 "0.500"이면 2번의 타수마다 평균 1루를 진루한다는 뜻입니다.



OPS "On base Plus Slugging"란 출루율과 장타율을 더한 기록입니다.


야구 통계 학자 빌 제임스가 창시한 모임에서 만들어졌으며 현대 야구에서 타자의 능력 지표로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세이버메트릭스"Sabermetrics)


일반적으로 타율은 "0.350", 출루율은 "0.400", 장타율 "0.600", OPS "1.000"이 넘어간다면 각 기록에서 정상급 성적입니다.

반응형

Comments